『환경독성보건학회 어제, 오늘, 미래 – 40주년을 준비하며』 심포지엄 후기 – 시립대학교 강 건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환경시스템독성학연구실 미래세대위원회 2기 강건 ‘환경독성보건학회 40주년 준비 심포지엄’ 참석 당일 호우주의보가 발령될 정도로 비가 아주 많이 왔다. 무겁게 가라앉은 바깥 공기와는 반대로, 심포지엄 장소 내부의 공기는 학회 임원진분들의 열띤 토의로 들떠 있었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빗방울의 개수만큼 많은 화학물질이 쏟아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국민들에게 우산이 되어 준 환경독성보건학회의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를 고찰하며, 미래를 […]
『환경독성보건학회 어제, 오늘, 미래 – 40주년을 준비하며』 심포지엄 후기 – 한양대학교 박종인

안녕하세요, 환경독성보건학회 미래세대위원회 소속의 한양대학교 석사과정생 박종인입니다. 이번 심포지엄에 대한 소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환경독성보건학회 어제, 오늘, 미래 – 40주년을 준비하며”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신윤용 교수님의 ‘환경독성보건학회 역사’, 정해관 교수님의 ‘환경독성학회와 환경보건포럼의 통합/가습기 살균제’, 안윤주 교수님의 ‘환경독성보건학회의 SETAR AP 활동’, 그리고 권정환 교수님의 ‘학술지의 역사 / 40주년 특별호 준비’로 구성되었습니다. 심포지엄에서는 환경독성보건학회의 40년의 역사와 발전 […]
2023 춘계학술대회 영상

https://blog.naver.com/koseht/223122254407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

정영호기자, 서울시립대학교 플라스틱의 탄생 플라스틱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옛날의 당구공은 코끼리의 상아로 만들었는데 코끼리의 희생을 줄이기 위해 대체물질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세기 말 질산섬유를 이용하여 합성한 셀룰로이드(Celluloid)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중합한 베이클라이트(Bakelite)라는 최초의 플라스틱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셀룰로이드는 필름의 재료로 이용되면서 영화산업을 이끌었고, 이후 플라스틱을 제품에 많이 활용하며 플라스틱의 시대(Plastic Era)가 시작되었다. 점차 화학산업이 발달하며 여러 […]
미래세대위원회의 상반기 활동을 마치며..

안녕하세요. 환경독성보건학회 미래세대위원회 학생위원 1대 대표 한양대학교 약학과 대학원생 최성빈입니다. 저희 미래세대위원회는 이번에 새롭게 발족한 위원회인 만큼 2022년 1학기 활동의 후기를 공유하여 저희 위원회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학회에 참석하게 되면 여러 연자 분들의 강연과 포스터 세션 등을 통해 정보 교류를 하게 되는데, 이뿐만 아니라 학생 여러분들께서 희망하시는 부분이 […]